본문 바로가기
공부하는 어른이/문화이야기

할로윈(Halloween)데이 유래와 놀이 문화

by simplicity 2021. 10. 12.

누구나 할로윈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다. 귀신과 좀비가 나올 것 같고, 동네마다 아이들이 트릭 올 트릿(Trick or Treat)을 하러 다닐 것 같은 그런 환상! 그런데 살아보니 그런 것은 없었다. 개인의 동심을 지키면서 각자 좋아하는 놀이를 찾아 다양한 이벤트를 선택해서 즐기는 할로윈을 알아보고자 한다. 

 

주황색-큰 호박과-흰 호박이-테이블-위에-널려있는-모습
할로윈 호박

 

할로윈이라는 스토리텔링의 힘 

 

할로윈이라는 주제 하나로 사람들을 자극한 향수와 환상들이 결국에는 하나의 놀이가 되었다. 옛날 켈틱족의 페이건 종교적인 주술적 행위에서 시작된 이후 가톨릭 종교가 이를 흡수하게 되면서 인간들이 두렵다고 생각하는 귀신 그리고 악령을 물리치기 위한 갖가지 제사적 의식으로 확대되면서 오늘날 할로윈은 다양한 이벤트를 즐길 수 있는 재미있는 놀이문화로 새롭게 정착되었다. 

 

할로윈의 시작은 아일랜드 켈트족의 페이건 민속종교였다. 11월 1일을 한 해의 시작이자 겨울이 시작되는 첫날, 저승 문이 열려서 죽은 자의 영혼과 악마들이 이승으로 올라온다고 믿었다고 한다. 그래서 켈트족들은 제사를 지내며 악령과 악마들이 사람들을 구분하지 못하도록 기괴한 모습으로 자신을 꾸몄다고 한다.

 

악령들이 자신들을 발견하지 못하도록 언덕 꼭대기에 거대한 모닥불을 피우기도 하고, 집 앞에는 죽은 이들이 집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집 앞에 음식을 놓아두어 표시를 했다고 한다. 

 

현재의 할로윈 문화가 정착한 것은 20세기 초반으로 미국으로 이주한 소수의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출신 이민자들이 벌이는 작은 행사였다가, 19세기 중반부터 아일랜드 출신의 이민자가 급증하자 전통 축제인 할로윈도 미국 내에서 빠르게 퍼지기 시작하였다. 1930년대 이후부터는 아이들이 귀신 분장하고 집마다 돌아다니며 사탕과 과자를 얻는 세계적인 문화로 자리잡았다고 한다. 

 

그래서 마을을 지나가다 보면 집집마다 다양하고 기발한 방법으로 할로윈 귀신을 물리치기 위한 개성적인 야외 데코레이션을 만날 수 있다. 

주택-마당-앞에-비석-어린인형-나무-위-거미줄이-쳐져-있는-모습
비석 R.I.P

 

마당 앞에 비석이 세워져 있거나 어린 여자 인형이 할로윈 소품으로 자주 사용되고 나무 위에는 거미줄 같은 것을 치기도 한다. 

 

주택-마당-앞에-나무-위-거미줄과-흰색-인형들이-원을 그리고-서있는-모습
둥글게 둥글게

 

집주인의 개성있고 독특한 아이디어가 돋보인다. 하얀 소복을 입은 캐릭터가 원을 그리고 서 있는 데코레이션이 우리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나무에-빗자루-마져가-걸려있고-바닥에는-문구푯말이-꽂혀있는-모습
개성있는 문구 

Don't text and fly.. '하늘 나는 동안 문자 하지마세요'라는 마녀가 안전운행 안하면 이렇게 나무에 걸린다는 재치 있는 문구! 이는 자동차나 항공 업계에서 자주 쓰이는 슬로건이다. 

 

어떤 사람들은 할로윈을 소품들은 직접 손으로 만들어서 전시하고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걸 좋아한다고 한다. 

 

주택-마당-앞에-마녀와-유령이-나무에-걸려-흔들리는-모습
직접 만든 유령

 

할로윈 놀이는 어떤 것이 있을까? 

 

할로윈 하면 색깔이라는 이미지가 먼저  떠오를 것이다. 바로 주황색과 검은색의 그리고 피가 연상된다. 귀신과 악령을 쫓기 위한 분장, 불과 연기 그리고 기괴한 웃음소리도 떠오른다.  

 

할로윈에 자주 활용되는 일반적인 소품인 주황색 호박은 할로윈의 중요한 상징과도 같다. 호박을 집 앞 현관 계단에 그냥 세워두기도 하고, 호박 속을 직접 파내서 악마의 얼굴을 새기고 그 안에 초를 켜 놓은 '잭 오 랜턴'을 만드는 것 또한 하나의 벤트로 즐길 수 있다. 

 

  • 잭 오 랜턴 (Jack-O'-Lantern)

 

잭 오 랜턴은 아일랜드 민화에 등장하는 구두쇠 잭(Jack)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한다. 잭은 악행을 일삼아 천국에도 지옥에도 가지 못하고 불을 담아 이승을 떠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원래는 스코틀랜드에서 순무를 사용했으나 미국으로 오면서 토산물인 호박으로 대치되었고 새롭고 창의적인 잭 오 랜턴 놀이가 정착되었다고 한다. 호박 겉껍질을 까서 눈, 코, 입 모양으로 잘라 만들어 최대한 무섭게, 악령이 자신의 집을 피해서 가는 디자인을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커다란-검정색-해골-유령-손에-주황색-잭 오 랜턴을-들고있는-모습
잭 오 랜턴

잭 오 랜턴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마트나 농장에서 호박을 산 후, 호박을 자르는 조각칼이나 도구를 산 후, 호박 겉면에 도안을 그린 후 열심히 호박을 파내어 모양을 만든다. 이는 가족들과 집에서 함께 만들거나, 바에서도 할로윈 이벤트 프로그램으로 사람들과 함께 직접 호박 조각을 하면서 술을 마시며 즐길 수 있다고 한다. 단, 체험비는 별도로 내고 참가해야 함!(예전 동료가 알려준 이야기).

 

최근에는 플라스틱용 잭 오 랜턴 호박도 나왔다고 한다. 호박은 생물이기 때문에 호박 속을 처리하거나 지저분한 것이 싫은 사람들을 위한 플라스틱 잭 오 랜턴을 마이클에서 구할 수 있다고 한다.  

 

  • 할로윈 분장 그리고 트릭 올 트릿(Trick or Treat!)

 

할로윈 하면 아이들 뿐 아니라 어른들도 분장을 하면서 축제를 즐기는 것으로 유명하다. 분장 캐릭터로는 마녀, 괴물 등 전통적인 복장을 즐기는 사람도 있지만 최근 유명인이나 영화 속 캐릭터 등 개성있는 복장을 입고 꾸미는 것으로 유명하다. 

 

머리-위-검은-마술모자-빨간 칼이-꽂혀있는-소년에게-손가락-불을-가리키는-모습
할로윈 분장

 

할로윈 분장을 하고 파티를 가는 것이 할로윈 놀이의 핵심이다. 파티를 주선하거나 또는 파티에 초대를 받거나, 바에서 할로윈 파티나 이벤트가 열리는 곳에서 할로윈을 제대로 즐기고 싶다면 개인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코스튬을 입고 파티에 참석하면 좋다.  

 

조금 더 으슥하고 무서운 할로윈을 즐기고 싶다면 지역 농장에서 귀신의 집과 같이 조성해 어두운 길을 걷거나 옥수수 미로 밭 통과하기, 두려움을 극복하는 체험 등의 이벤트도 있다. 모든 이벤트는 일정 금액을 내면 참여가 가능하다. 

 

*

 

아이들에게 할로윈의 재미는 바로 트릭 올 트릿(Trick or Treat!) 일 것이다. 트릭 올 트릿 의미는 '과자를 안 주면 짓궂은 장난을 칠 거야~'라는 다소 협박적이지만 나쁜 운을 피하려면 순순히 초콜릿을 내어주는 게 좋을 것이다.

 

웬만해서는 잭오랜턴이 마당에 있는 집을 방문해서 문을 두드려야 한다. 잭 오 랜턴이나 할로윈 데코레이션이 마당에 있다는 의미는 트릭 올 트릿 게임을 주문을 외쳐도된다는 증표다. 아무 문이나 두드려서는 안 된다.  서로  아는 이웃집이거나 서로 간 얘기가 오간 집,  또는 축제에 참가하여 초콜릿을 받는다면 더 안전할 것이다. 

 

영화 '이티(E.T.)에서 할로윈에 대한 분위기를 잘 설명해준다. 대낮부터 저녁까지 할로윈 분장을 하고 마을을 돌아다니는 사람들 그리고 사람들마다 손에 하나씩 무언가를 들고 다니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 '요다 캐릭터'로 분장한 어린이와 이티가 길을 걸아가다 대면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때 요다 손에 들고 있는 봉지! 이것이 트릭 올 트릿을 하고 받을 초콜릿과 사탕을 담아가는 봉투이다.  

마을-집-할로윈-복장을-하고-걸어다니는-사람들-모습
할로윈 분장

 

오렌지색 바구니 또한 할로윈 초콜릿을 담아가는 이벤트적 상징이다. 할로윈 시즌에는 어디에서나 바구니나 캐릭터 비닐백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주황색-할로윈-바구니가-있는-모습
바구니

 

아주 어린아이라면 부모님과 함께 다니며 이벤트 하는 장소나 각 집의 방문을 두드려서 초콜릿을 얻는 재미가 있다고 한다. 재미있고 개성 있는 할로윈 분장을 하고 집을 방문한다면 더 많은 트릿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할로윈에는 어떤 것을 먹을까?

 

할로윈에는 육류를 먹는 대신 야채나 과일을 많이 섭취한다고 한다. 호박과 사과가 대표적인데, 호박으로 으로 요리할 경우 호박 수프나 호박 파이를 즐겨 먹는다. 하지만 호박보다 더 즐겨먹는 것은 바로 '캐러멜 사과'이다. 

 

캐러멜 사과는 통 사과 겉면에 캐러멜 소스를 바르고 견과류나 초콜릿을 데코레이션 해서 먹는다. 너무나도 호기심이 가고 먹고 싶은 유혹이 가지만, 먹고 난 후 치과에 오래 다녀야 할 것 같은 느낌이기 눈으로만 먹는다. 

 

이 가을 시즌에는 사과 주스, 애플파이, 사과 캔디 등 달달한 간식들을 즐겨 먹는다. 

 

디저트-냉장고-안에-초코릿-견과류가-발려진-카라멜 애플이-전시되어-있는-모습
카라멜 애플

 

할로윈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민화 이야기, 할로윈의 놀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아일랜드 켈트족의 민속문화였던 것이 미국으로 건너온 이민자들에 의해 미국만의 할로윈 문화로 정착되었다는 건 오랜 시간 사람들에게 전해 내려온 이야기와 문화가 전달해주는 스토리텔링의 힘이 대단하구나를 알게 된다.

 

 

 

+_+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