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파머스 마켓(Farmers Market)은 우리나라의 5일장과 비슷하게 야외에서 다양한 상인들이 텐트와 테이블을 펼쳐 농산물을 직거래하는 장터를 말한다. 10월의 마지막 야외 파머스 마켓을 다녀와보고 어떠한 모습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파머스마켓이란?
파머스 마켓, 말 그대로 농부가 직접 밭에서 기른 농산물이나, 가공식품, 생활용품, 먹거리 등을 넓은 주차장이나 공원에서 상인과 소비자 간 직거래 하는 것을 파머스 마켓이라 한다. 이는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어디를 가나 흔히 볼 수 있는 전통 장터의 모습이다. 그러나 미국의 파머스 마켓 운영 방식과 소작농들을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에 관련한 법제화가 잘 갖춰져 있다고 한다.
파머스 마켓은 보통 매주 토요일 오전 7시부터~12시까지만 개장하여 연 중 상시 운영을 하고 있다. 날씨가 따뜻해지는 5월~10월 말까지는 주로 공원이나 주차장 등 야외에서 장터가 운영이 되며, 동계 시즌에는 실내로 장소를 옮겨 장터 운영을 하거나 인터넷으로 상품 거래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대형 마트에서 파는 것보다 파머스 마켓에서 파는 물건의 가격이 그리 저렴한 편은 아니다. 일반 시장에서 파는 농산물의 가격의 두 배를 치르고 사야 하지만, 채소나 과일들이 신선하고 판매되는 농가들의 유기농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정부 인터넷 사이트에서 공유를 하고 있어 믿고 쉽게 구매를 할 수 있다. 무엇보다 큰 장점은 상인과 소비자 간의 소통을 할 수 있는 커뮤니티의 장소이기에 지역 사람들에게는 큰 교류의 장이라 할 수 있다.
파머스 마켓의 미국 정책과 특징
파머스 마켓은 생산자가 직접 농산물을 소비자나 소매상에게 판매하는 시장이다. 1976년 "농산물 직거래 법(The Farmer to Custmer Direct Market Act)"을 제정하여, 파머스 마켓의 개설과 운영에 관한 장치를 마련하였다. 각 지역 상공회의소에서 파머스 마켓과 같은 시장 개설을 위해 지원하고 있다.
파머스 마켓을 이용하는 농가나 판매자들은 수수료 부담과 판매대 청소, 판매세 납부 및 보험 가입 등 여러 가지 규정 준수와 의무 규칙을 따라야 한다. 이 절차를 모두 통과한 농가 및 판매자들에게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파머스마켓 임대 장소 제공 및 파머스 마켓 개설되는 장소 및 분산 등의 정보 소개와 지원을 하고 있다.
파머스 마켓 특징으로는
- 대농보다는 소작농을 이루는 농가들이 직거래에 참가하여 품목 특화, 유기농 재배 등 직접 개인 사업자가 개별적으로 준비를 한 제품이라는 것에서부터 시장의 차별화를 이루고 있다.
- 판매되는 제품의 고품질과 신선도 유지로 직거래 가격이 전통적인 시장 가격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 직거래가 단순히 판매에만 치중하지 않고 다양한 이벤트나 축제 행사와 연계한 지역사회의 관광 농업으로 발전한다.
- 행정지원 체계와 법, 제도가 잘 갖춰져 있어 인터넷을 통한 직거래 정보 제공과 농산물의 안전성 등을 마련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파머스 마켓
파머스 마켓 농민들은 소비자들에게 고품질의 농산물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기회 제공에 목적을 두고 있다. 소작 농업을 하는 농부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농산물 직거래를 지속적으로 하기란 쉽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 정부는 농산물 직거래 유통뿐만 아니라 농촌개발, 취약계층에 식품 지원과 관련한 법과 정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소작 농가 지원을 통한 농촌의 활성화, 안전한 먹을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접근성 향상 등을 위해 농산물 직거래를 정책적으로 적극 활용하여 이들이 안정적으로 생산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인 것이다.
무엇보다 파머스 마켓의 성공적 요인은 농가나 상인들에게 임대료를 덜어주기 위하여 공공용지를 무상으로 임대하거나 다른 적절한 토지를 저렴한 가격에 임대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물, 전기 등 무상 혹은 저렴한 가격에 지원으로 관리운영의 도움을 주고 있다.
미국의 초 현대화된 대형 유통시장에서 개인 사업자나 소작농 농부들의 진출은 바늘구멍에 실 꿰듯 어렵기만 하다. 이를 보완하기위한 법과 정책으로 유통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소작농들의 판매 장소를 확대하고, 판매자와 소비자 간 대면 교류 증진과 소비자들의 건강한 식품 제공 등 전통적인 파머스 마켓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해 나가고 있다.
끝으로
파머스 마켓을 방문하고 이곳을 두가지로 함축할 수 있다.
- 파머스 마켓은 지역사회 축제 및 행사와 함께 진행되어 커뮤니티 형성과 경제적 홍보적 효과를 줄 수 있다.
- 판매 상품들이 저렴하지는 않지만 신선도를 유지한 야채나 채소, 제과 제빵 등을 구입할 수 있어 좋다.
+_+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공부하는 어른이 > 문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Z 세대 의미와 신조어 알아보기 (18) | 2021.11.23 |
---|---|
미국과 영국의 잼과 젤리를 구분하는 법! (14) | 2021.11.09 |
잭 오 랜턴(Jack O'lantern) 핼로윈 호박 만들기 (10) | 2021.10.30 |
할로윈(Halloween)데이 유래와 놀이 문화 (0) | 2021.10.12 |
회복탄력성에 대해 - 1 (0) | 2021.09.20 |
댓글